IoC (Inversion Of Control)
- IoC는 제어의 역전이란 단어로 GoF의 디자인 패턴에서 언급되었다.
- 예시
- 기존 방식
public class A { private B b; public Person() { this.b = new B(); } }
- IoC 적용된 방식
public class A { @Autowired private B b; }
- 기존 방식은 개발자가 생성자를 통해 객체를 생성했다.
- IoC가 적용된 방식을 보면 컨테이너에서 관리하는 Bean을 주입시키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기존 방식
- IoC의 이점
- 역할과 책임을 분리할 수 있다.
- 즉, 빈을 생성하고 주입하는 역할과 책임을 컨테이너에게 위임하므로써 변경에 유연한 코드 구조를 가져갈 수 있다.
- 예시. 주문할 때 기존에는 고정된 퍼센트로 할인을 진행했다가 구매 가격에 따른 할인 정책으로 변경하였다.
public class Orders { // private Discount disount = new FixedDiscount(); private Discount disount = new DynamicDiscount(); }
- 할인 정책이 변경될 때마다 Discount 가 참조하는 객체가 변경된다.
- 하지만 IoC를 활용하여 DynamicDiscount를 주요 빈으로 등록하면 해당 소스 수정없이 진행할 수 있다.
- 예시. 주문할 때 기존에는 고정된 퍼센트로 할인을 진행했다가 구매 가격에 따른 할인 정책으로 변경하였다.
- 수 많은 객체들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Spring 의 DI
- 토비의 스프링
IoC가 매우 느슨하게 정의돼서 폭넓게 사용되는 용어라는 점이다. 때문에 스프링을 IoC 컨테이너라고만 해서는 스프링이 제공히는 기능의 특정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 생략 … 몇몇 사람의 제안으로 스프링이 제공하는 IoC 방식을 핵심을 짚어주는 의존관계 주입 DependencyIniection이라는, 좀 더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이름을 사용하 기 시작했다. … 생략 … 스프링이 여타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돼서 제공해주는 기능은 의존관계 주입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할 때 분명하게 드러난다. …생략… DI는 오브젝트 레퍼런스를 외부로부터 제공(주입)받고 이를 통해 여타 오브젝트와 다이내믹하게 의존관계가 만들어지는 것이 핵심
- 의존성
- 의존한다는 말은, 서로 다른 객체간에 레퍼런스 참조가 되어 있다는 의미
- 이때, A->B에 의존관계에 있을 때 B객체에 변경사항이 A 객체에게 영향을 끼치는 구조
- 예시
public class Orders { private Discount discount = new FixedDiscount(); private int totalPrice; // 여기서 discount의 discount메서드가 변경되었다면 Orders에 getTotalPrice() 함수도 영향을 받는다. public int getTotalPrice() { return discount.discount(totalPrice); } }
- 주입
- 외부로부터 객체의 주소(레퍼런스) 값을 전달받게 되어 객체가 참조되어지는 방식
- 의존성 주입
- 의존관계에 있는 객체들이 있을 때 외부(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에 레퍼런스를 전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객체에서 코드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 토비의 스프링에서 말하는 3가지 조건
- 클래스 모델이나 코드에는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고 있어야 한다.
-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는 컨테이너나 팩토리 같은 제3의 존재가 결정한다.
- 의존관계는 사용할 오브젝트에 대한 레퍼런스를 외부에서 제공(주입)해줌으로써 만들어진다.
DI는 오브젝트 레퍼런스를 외부로부터 제공(주입)받고 이를 통해 여타 오브젝트와 다이내믹하게 의존관계가 만들어지는 것이 핵심 …생략… 주입받는 메소드 따라미터가 이미 특정 클래스 타입으로 고정되어 있다면 DI가 일어날 수 없다. DI에서 말하는 주입은 다이내믹하게 구현 클래스를 결정해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타입 의 파라미터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
- 핵심은 DI는 클래스타입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인터페이스 타입의 파라미터를 통해 다이나믹하게 구현 클래스를 결정해서 제공 받을수 있어야 한다.
public class Orders { private Discount discount = new FixedDiscount(); @Autowired public Orders(Discount discount) { this.discount = discount; } }
- 동적으로 결정한 Discount 구현체를 injection 해주어야 한다.
출처
- 블로그: https://biggwang.github.io/2019/08/31/Spring/IoC,%20DI%EB%9E%80%20%EB%AC%B4%EC%97%87%EC%9D%BC%EA%B9%8C/
- 토비의 스프링